About
Research
Academics
People
Board
* Named Lectureship 은 대학원생 전원 참석 세미나입니다.Named Lectureship 세미나가 다음 주 목요일 (6월 12일) 오후 4시 30분에 개최됩니다.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 Electrocatalysis on 1T′- molybdenum disulfide- 연사 : Prof. Kian Ping Loh(Department of Chemistry,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일시 : 2025년 6월 12일(목) 오후 4시 30분- 장소 : 화학관 1층 330102호실===================================================================Electrocatalysis on 1T′- molybdenum disulfide Kian Ping LohDepartment of Chemistry,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 would like to introduce 1T-MoS2 as an interesting platform for loading single atom catalysts (SAC). Identifying a substrate that provides strong anchoring of two different types of single atom catalysts (SACs) while enabling their dynamic re-configuration into binuclear dual atom catalyst (DAC) is crucial for attaining good performance in electrochemical synthesis, but remains relatively unexplore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the electrochemical desulfurization of MoS2 produces abundant 1 Tʹ domains that facilitate the high loading of Cu (7.9 wt%) and Pt (6.7 wt%) to form DACs. By using operando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and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we revealed the dynamic, reversible configuration between single atom state (Pt and Cu) and DAC state (Cu-Pt) by applying a voltage near hydrogen evolution reaction during electrochemical reactions [1]. As a proof of principle, we demonstrate that the Cu-Pt DACs induced by electric field showed superior performance for the selective hydrogenation of alkynes as compared to mono-elemental Cu or Pt catalysts. In another study, we demonstrate that 1T′-enriched lithiated molybdenum disulfide is a highly powerful reducing agent, which can be exploited for the in-situ reduction of metal ions within the inner planes of lithiated molybdenum disulfide to form a zero valent metal-intercalated molybdenum disulfide [2]. The confinement of platinum nanoparticles within the molybdenum disulfide layered structure leads to enhanced hydrogen evolution reaction activity and stability compared to catalysts dispersed on carbon support. We discovered that by hydrogenating the intercalated Li to form lithium hydride (LiH), unprecedented long-term (>3 months) air stability of the 1T′ phase can be achieved. Most importantly, this passivation method has wide applicability for other alkali metals and TMDs [3]. References [1] Wu, J., Chen, Z., Yang, K. Kian Ping Loh* et al. Electric bias-induced reversible configuration of single and heteronuclear dual-atom catalysts on 1Tʹ-MoS2. Naure Nanotechnology (2025). https://doi.org/10.1038/s41565-025-01934-z [2] Chen, Z., Leng, K., Zhao, X. Kian Ping Loh* et al. Interface confined hydrogen evolution reaction in zero valent metal nanoparticles-intercalated molybdenum disulfide. Nat Commun 8, 14548 (2017). https://doi.org/10.1038/ncomms14548 [3] Chemical Stabilization of 1T′ Phase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with Giant Optical Kerr Nonlinearity Sherman J. R. Tan, Kian Ping Loh*,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7, 139, 6, 2504-2511
화학과 산업계 인사 세미나(생물화학특강2 수업-이원화 교수)가 이번 주 목요일 (6월 5일) 오전 10시 30분에 개최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 산업계 연구원으로의 커리어 전환: 제약 연구원의 길을 찾다- 연사 : 남동규 박사(파마리서치 바이오)- 일시 : 2025년 6월 5일(목) 오전 10시 30분- 장소 : 화학관 2층 330226호실===================================================================Title산업계 연구원으로의 커리어 전환: 제약 연구원의 길을 찾다Abstract학계에서 산업계로의 전환은 단순한 직무 이동이 아닌, 충분한 준비와 산업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하는 과정입니다. 일반적으로 제약 산업 내 연구원의 역할은 탐색(Discovery)과 개발(Development)을 통한 신약 개발에 국한되어 있다고 인식되지만, 실제 현업에서는 이 외에도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제조 공정의 개선, 분석 기법의 개발, 허가 자료의 구축, 그리고 타 부서 및 외부 협력사와의 조율 등 폭넓은 역량이 요구됩니다.본 강의에서는 산업계 내에서 신약 및 의료기기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며, 그 결과물이 실제로 소비자가 접하는 제품으로 이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소개합니다. 더불어, 학계에서 산업계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산업계 연구원으로서의 역할, 중간관리자로서 연구 조직을 운영하고 인사권자로서 채용에 참여하게 되기까지의 저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자리를 통해 산업체 진출을 고민하고 있는 대학원생, 석사 및 박사 연구원 여러분과 함께 실질적인 소통의 시간을 나누고자 합니다.
세미나가 이번 주 목요일 (6월 5일) 오후 4시 30분에 개최됩니다.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 Computational insights into molecular behaviors on solid surfaces- 연사 : 정재훈 교수(울산대학교 화학과)- 일시 : 2025년 6월 5일(목) 오후 4시 30분- 장소 : 화학관 2층 330226호실===================================================================* 졸업논문 교과목 수강자 세미나 필수 참석 안내석사, 석박통합, 박사과정이 수강하는 <졸업논문연구학점 1~6>수강자는 학과에서 개최하는 목요일 정규세미나에 반드시 참석해야함.관련공지(skku.edu)https://skb.skku.edu/chem/News/notice.do?mode=view&articleNo=146936&article.offset=10&articleLimit=10)
현재 국내 바이오 대기업에 재직중인 14학번 서동화 동문의 세미나 안내드립니다.학부생, 대학원생 여러분의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사전신청링크 : https://forms.gle/G5ssAUHqnHjNcoMr5======================================일 시 : 2025년 6월 2일(월) 오후 4시 30분장 소 : 화학관 1층 330118호연 사 : 서동화 동문(국내 바이오 대기업 MSAT 정제 기술이전팀)======================================1) 서동화 동문 소개*사내 규정 상, 정보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회사와 직무를 자세히 밝힐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회사 경력]- 국내 바이오 대기업 인사팀 사원 (채용 부문, 8개월)- 상동 회사 MSAT 정제 실험팀 사원 (20개월)- 상동 회사 MSAT 정제 기술이전팀 사원 (21개월)- 상동 회사 MSAT 정제 기술이전팀 대리 (3개월)[학교 활동]- 화학과 야구동아리 ‘아브라삭스’ : 2014~현재*2016년도 주장, 2018년도 감독, 2023년도 OB 총무- 화학과 학술동아리 ‘장돌’ : 2016~2019- 화학과 학생회 : 2015~2019*자과인의 날, 새내기 새로배움터, 화학캠프 기획 및 행사 진행- 자연과학대학 학생회 : 2019- 중앙동아리 ’모여락‘ : 2019*한강 거리예술가 (버스킹), 해오름제 / 대동제 공연- 취업준비 멘토링 활동 : 2021~현재*성균관대학교 학생성공센터, 소셜 멘토링 채널 ‘잇다’, 개인 플랫폼 등에서 활동 중으로, 50건 이상 멘토링 및 소규모 강연 진행2) 강연 내용- 바이오 의약품 제조 공정에 대한 간단한 소개- 평소 업무 내용 및 힘든 점과, 업계 진출에 필요한 역량- 화학과 동문 선배로서, 대학 생활에 대한 조언- 취준 멘토로서, 자기소개서 / 면접 준비 방법
[글로벌 학습경험 확대] WAVE 글로벌 공동강의 특강 안내 (강연자: Professor Seung-Wuk Lee)글로벌 공동강의는 본교 교원과 해외저명대학 교원이 함께 만드는 수준 높은 수업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학생들의 글로벌 학습경험을 확대하여 본교 교육 수준 제고 및 글로벌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양한 기반으로 해외대학과의 공동교육과정 운영, 공동 연구 등을 촉진하기 위한 성균관대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중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1. 강연자: Professor Seung-Wuk Lee- 2006~현재: Department of Bioengineer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바이오 나노바이오 소재에 대한 세계적 권위자- NSF Engineering Frontier Research Innovation Award (2022); American Institute for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s College of Fellows (2016); One of 12 Highlights for President Obama’s US Congress report for the NSF (2014)2. 특강 주제 및 내용:Biomaterial design: Peptide nanostructure design principles- Structure of peptide and protein- Design of peptide based nanostructure- Structure and function principles3. 주관: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고두현 교수, 재료화학1 수업)4. 일시 및 장소:1차: 25년 6월 2일(월) 15:00~16:30 (온라인 실시간 강의)2차: 25년 6월 9일(월) 15:00~16:30 (온라인 실시간 강의)5. Zoom 참석 링크1차:https://zoom.us/j/82761733268 회의 ID: 827 6173 3268암호: 920127312차:https://zoom.us/j/86466020509회의 ID: 864 6602 0509암호: 832493816. 문의: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행정실 031-290-7099* 참여학생들은 Video On, Mic Off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세미나가 이번 주 목요일 (5월 29일) 오후 4시 30분에 개최됩니다.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 Nanoporous Carbon Materials for Fuel Cells and Supercapacitors- 연사 : 박찬호 교수(GIST)- 일시 : 2025년 5월 29일(목) 오후 4시 30분- 장소 : 화학관 2층 330226호실===================================================================* 졸업논문 교과목 수강자 세미나 필수 참석 안내석사, 석박통합, 박사과정이 수강하는 <졸업논문연구학점 1~6>수강자는 학과에서 개최하는 목요일 정규세미나에 반드시 참석해야함.관련공지(skku.edu)https://skb.skku.edu/chem/News/notice.do?mode=view&articleNo=146936&article.offset=10&articleLimit=10)
세미나가 이번 주 목요일 (5월 22일) 오후 4시 30분에 개최됩니다.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 Organocatalysts and organometallic catalysts for CO2 chemical conversion under ambient condition- 연사 : 김영조 교수(충북대학교 화학과)- 일시 : 2025년 5월 22일(목) 오후 4시 30분- 장소 : 화학관 2층 330226호실===================================================================* 졸업논문 교과목 수강자 세미나 필수 참석 안내석사, 석박통합, 박사과정이 수강하는 <졸업논문연구학점 1~6>수강자는 학과에서 개최하는 목요일 정규세미나에 반드시 참석해야함.관련공지(skku.edu)https://skb.skku.edu/chem/News/notice.do?mode=view&articleNo=146936&article.offset=10&articleLimit=10)
㈜ H&A 파마켐 지홍근 CTO의 동문 세미나 안내드립니다.학부생, 대학원생 여러분의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사전 참석 신청 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Ch8P8-v8EJ0GHP8eaXYbU3sgyDn2i7W1x_iOvzjGftX515w/viewform?usp=header======================================일 시 : 2025년 5월 19일(월) 오후 4시 30분장 소 : 화학관 1층 330118호연 사 : 지홍근 박사(㈜ H&A 파마켐 CTO)======================================
세미나가 다음 주 목요일 (5월 8일) 오후 4시 30분에 개최됩니다.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Chiral Metallosupramolecular Polymerization Accompanying Helical Inversion and Morphology Transformation- 연사 : 정종화 교수(경상대학교 화학과)- 일시 : 2025년 5월 8일(목) 오후 4시 30분- 장소 : 화학관 2층 330226호실===================================================================* 졸업논문 교과목 수강자 세미나 필수 참석 안내석사, 석박통합, 박사과정이 수강하는 <졸업논문연구학점 1~6>수강자는 학과에서 개최하는 목요일 정규세미나에 반드시 참석해야함.관련공지(skku.edu)https://skb.skku.edu/chem/News/notice.do?mode=view&articleNo=146936&article.offset=10&articleLimit=10)
세미나가 다음 주 목요일 (4월 17일) 오후 4시 30분에 개최됩니다.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 Conformer-specific Vibrational Spectroscopy: A New Approach Using IR-resonant VUV-MATI mass spectroscopy- 연사 : 권찬호 교수(강원대학교 화학과)- 일시 : 2025년 4월 17일(목) 오후 4시 30분- 장소 : 화학관 2층 330226호실===================================================================* 졸업논문 교과목 수강자 세미나 필수 참석 안내석사, 석박통합, 박사과정이 수강하는 <졸업논문연구학점 1~6>수강자는 학과에서 개최하는 목요일 정규세미나에 반드시 참석해야함.관련공지(skku.edu)https://skb.skku.edu/chem/News/notice.do?mode=view&articleNo=146936&article.offset=10&articleLimit=10)
This site does not support JavaScript may connote normally invi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