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학사과정

  • home
  • 학사과정
  • 국제통상학 연계전공
  • 교육과정

학사과정

국제통상학 연계전공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BIZ2022 회계원리 3 6 전공 학사 1-4 경영대학 한,영 Yes
회계학을 처음 대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회계학의 기본개념, 회계순환과정, 그리고 재무제표작성을 주된 주제로 강의한다. 이로써 기본적인 회계개념을 이해시키고 재무정 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켜서 앞으로 회계학과 경영학을 숙지해 가는데 필요한 소양을 획득하도록 한다.
BUS2001 경영학원론 3 6 전공 학사 1-4 경영학과 Yes
경영자의 관점에서 사업의 관리와 기업의 운영을 위해 알아야 할 이론과 방법을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성과를 책임지는 경영자의 주요 역할 및 활동, 경영자가 주시해야 할 조직 내부와 외부의 경영 환경, 기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과정, 합리적으로 의사결정 하는 방법 등을 학습한다. 그리고, 조직의 문화를 구축하고 강화하는 방법, 경영 환경의 변화에 맞춰 조직을 변화시키고 혁신하는 방법, 다양한 조직 구조와 유형별 장·단점, 조직의 핵심 자산인 사람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위해 필요한 개인의 특성과 다양성, 그에 따른 동기 부여 방법 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집단과 팀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는 방법, 경영자가 갖춰야 할 리더십에 대해 알아본다.
BUS2036 국제비즈니스협상과계약 3 6 전공 학사 경영학과 Yes
해외 영업, 무역 등 국제비즈니스에 필요한 비즈니스 협상의 본질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해외 거래처와의 복잡다기한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단계별 전략전술들을 습득함. 국제무역을 매매당사자간의 매매계약(물품, 서비스, 기술 및 지적재산권)을 중심으로 이를 이행하기 위한 운송계약, 보험계약 및 환계약과 계약불이행에 따른 구제방법인 중재 등을 상무적, 법리적으로 강론함.
BUS3001 국제물류 3 6 전공 학사 1-4 경영학과 Yes
국제무역과 국제경영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국제운송물류의 기본원리에 대해 고찰한다. 주요내용은 물류관리, 국제운송, 국제물류센터, 국제물류전략 및 케이스 스터디 등이다. 도로운송, 철도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 및 복합운송 등 다양한 운송수단의 상무적, 경제적 및 법리적인 측면을 고찰한다. 또한 국내적인 운영뿐만이 아니라 국제적인 화물운송의 관리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나아가 기업간 물류와 기업내 물류관리의 국제적인 문제 그리고 공급체인관리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BUS3027 글로벌리스크관리보험 3 6 전공 학사 1-4 경영학과 한,중 Yes
글로벌화와 기업의 글로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리스크를 식별,분석,측정하고 그 전통적, 혁신적 해결방안에 대해 검토함
CHI3034 무역서신강독 3 6 전공 학사 4 중어중문학과 Yes
실제 중국 기업과의 국제 상거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각종 공문과 이에 상용되는 용어와 격식을 이해하도록 하여, 번역과 작문의 방법을 통하여 실제로 무역관계 문서의 작성을 위한 실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CHS2003 빅데이터와인공지능을활용한시스템강건설계 2 4 전공 학사 1-4 도전학기 Yes
본 교과목에서는 공학 시스템의 성능 유지와 고장 진단 등 건전성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기초 이론 및 방법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신뢰성 분석, 센서 기반 빅데이터 획득, 빅데이터 신호 처리, 통계적 영향인자 추출, 인공지능 기반 모델링 기법 등에 관하여 이론적 방법론 및 실습 기반 학습을 수행한다. 또한 사례 소개를 통해 학습한 방법론 적용을 통한 공학 시스템 강건 설계에 관하여 고찰한다.
CHS2005 글로벌경제사 1 2 전공 학사 1-4 도전학기 - No
이 강좌는 세계경제의 진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세계경제질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강좌이다. 핵심 개념으로 근대화, 앙트레프레너십, 산업혁명, 기술진보, 경제발전, 세계화, 세계경제질서 등을 다룬다. 자세한 수업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글로벌 경제사의 개관으로 강좌를 시작하고 이후 시기적 순서에 따라 고대, 중세, 대항해시대, 중상주의 시대, 산업혁명, 1차 세계화, 세계화의 후퇴, 2차 세계화, 현재의 세계화를 다룬다.
CHS2008 4차산업혁명과창업비즈니스 1 2 전공 학사 1-4 도전학기 Yes
4차 산업분야는 혁신범위 확장과 산업구조 변화를 통하여 새로운 국가 성장방식을 주도할 핵심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선제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여 4차 산업분야의 신규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과 관련기술인재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반면에 4차 산업에 대한 국내의 대응체계와 인재양성 실적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서 기존 창업교육의 문제와 한계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요구에 효과적이지 못한 대응은 결국 국가경쟁력의 열위를 초래하여 미래 국가발전을 저해할 것이다. 본 과목은 대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4차산업혁명시대에 창업의 필요성을 주지시키고 4차산업혁명기술을 설명한다. 이러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비즈니스모델개발론, 스타트업 팀빌딩,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등을 습득한다. 비즈니스모델개발론의 경우 여러 가지 소비자의 pain point 가정을 설정하고 실제 증명을 통하여 창업아이템의 feasibility를 증명한다. 특히 학생들에게 성공적인 창업사례나 관련 동영상을 확보하여 재미를 통한 학습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창업을 할수 있는 기초역량을 배양한다.
CHS7004 Python활용인문사회과학논문쓰기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도전학기(대학원) Yes
논문을 쓰기 위한 과목으로 인문사회과학 영역의 연구를 위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논문을 쓰기 위한 과정이다. 기본적으로 논문 쓰기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하며, 논문을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프로그래밍 처리를 학습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가운데 인문사회과학 관련 자료를 처리하기 가장 적합하며, 자료 시각화 기능이 뛰어난 파이선을 활용하여 논문 쓰는 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논문 작성을 위한 기본 적인 연구 방법론 및 논문 내용 구성에 대한 이론 강의가 우선 진행된다. 논문 작성을 위하여 주제 선정 및 토론이 진행된다. 주제가 선정되면 관련 연구 정리 방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 다음 과정으로 연구 방법론에 따라 필요한 내용 작성에 대한 학습이 진행된다. 제언 및 참고 문헌 정리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여 이론적 접근법을 완성한다. 파이선 활용을 통한 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본적인 파이선 문법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며, 입력 자료 처리를 위한 실습을 진행한다. 각 연구 분야에서 필요한 파이선 패키지 설치 방법 및 활용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 후, 실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실습이 진행된다. 공동 연구 진행을 대비하여 쥬피터 노트북 (jupyter notebook) 사용법을 기본 환경으로 설정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자료 가시화를 위한 matplolib 활용법을 학습하며,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pandas 활용을 학습한다. 이 과목의 목적은 각 전공 분야에 필요한 연구를 파이선 언어로 프로그래밍 구현을 실행하여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정 기간 내에 논문 1편 완성을 목표로 한다.
CHS7008 AI기반전략적의사결정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도전학기(대학원) Yes
본 과목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고급 역량을 체계적으로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단순한 데이터 분석 능력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하며, AI가 생성한 방대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본 교과목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학생들이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협력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을 설계하였다. 본 과목에서는 먼저 AI의 기본 원리와 생성형 AI 시스템의 동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AI가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텍스트, 예측 결과 등)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나아가 AI가 생성한 정보의 오류 가능성과 편향 문제를 식별하고, 신뢰성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는 훈련을 집중적으로 진행한다. 특히 AI 의사결정 과정의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고, 책임 있는 AI 활용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단순 기술 습득을 넘어 사회적 책임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관점을 기를 수 있다. 이 과목은 단순한 데이터 분석 교육을 넘어, 인간과 AI의 협력 모델을 전략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기업 경영, 의료, 금융, 공공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AI 기반 의사결정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반 전략적 문제 해결 과제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실제 산업 및 공공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질적 의사결정 역량을 갖추게 된다. 또한 본 교과목은 글로벌 교육 트렌드를 적극 반영하였다. MIT의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cision Making (Course 6-4)', Stanford의 'CS 372: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easoning,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카네기멜론대학교(CMU)의 'SDS 88436 - Human-AI Complementarity for Decision Making'과 같은 선진 대학 과정을 벤치마킹하여, 최신 흐름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를 아우르는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기술은 앞으로 모든 산업과 사회 전반을 재편할 것이다. 본 과목은 이와 같은 변화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학생들은 AI의 잠재력과 한계를 동시에 이해하고, 인간 중심적 사고를 기반으로 AI와 협력하여 전략적 결정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기른다. 나아가, 미래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조직을 혁신으로 이끄는 AI 기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다진다. 본 과목은 단순한 AI 활용법을 넘어, 전략적 사고와 혁신적 리더십을 갖춘 AI 활용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지금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핵심 교과목이다.
ECO2001 경제학원론1 3 6 전공 학사 2-3 경제학과 한,영 Yes
경제학의 성격과 기본원리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소개함에 있어 소비이론, 기업이 론, 시장론, 가격결정, 일반균형 및 소득분배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와 응용분석력에 초점을 두어 강의한다. 경제학원리1은 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경제 주체들의 최적 행위를 대상으로하여 효율적인 최적자원배분을 분석하게 된다.
ECO2002 경제학원론2 3 6 전공 학사 2-3 경제학과 Yes
경제학의 성격과 기본원리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소개함에 있어서 고용, 국민소득결정, 이자율, 인플레이션, 임금, 물가 및 국민경제의 변동과 성장을 강의하게 된다. 경제학원리2는 국민경제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노동시장, 상품시장, 화폐시장의 상호 의존성을 분석한다.
ECO2003 미시경제학 3 6 전공 학사 2-3 경제학과 한,영 Yes
경제학 원리의 바탕위에서 중급수준으로 강의되는 과목. 거시경제이론과 더불어 미시 경제이론은 경제이론의 이대 접근방법의 하나로 가계, 기업, 산업과 같은 개별 경제 주체를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주요 내용은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비용이론, 기업 이론, 시장이론 등으로 다루어지며,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이 다루어진다. 그밖에도 후생경제학, 미시경제정책, 외부효과(환경문제), 공공재, 정보경제학 등의 문제도 소개된다.
ECO2004 거시경제학 3 6 전공 학사 2-3 경제학과 한,영 Yes
요소시장, 생산물시장, 금융시장 등으로 구성되는 경제조직의 경제행위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총생산량, 총고용량, 물가수준, 소비, 투자, 이자율 등이 어떻게 결정되고 변동되는가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 또한 고전학파, 케인즈학파, 통화주의, 기 대학파, 신케인지안 경제학 및 신고전거시경제학의 이론체계를 습득하고, 재정금융정 책의 효과와 함께 경제안정 문제를 다루게 된다. 나아가서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분 석과 장기 동태적인 거시경제의 성장과 경제변동을 논의한다.
ECO2013 국제무역론 3 6 전공 학사 2-3 경제학과 Yes
국제경제학의 원론적인 내용을 중심적으로 다루며, 무역과 가격, 무역과 소득, 무역과 성장 등에 관한 이론과 그 밖의 무역정책의 제반 문제를 고찰한다. 비교우위이론, 부존자원과 그 밖의 특정요소와 무역패턴과의 관계, 독과점적 시장 및 독점적 경쟁시장과 국제무역, 생산요소의 국가간 이동, 경제통합, 국제경제관계등이 이 과목의 주요 내용으로 다루어진다.
ECO3015 국제금융론 3 6 전공 학사 3-4 경제학과 Yes
국제금융론에서는 국제수지와 환율과 관련된 개방경제, 거시경제학의 이론과 정책문제를 다룬다. 환율, 소득, 그리고 이자율과의 관계, 개방경제의 소득결정이론, 대내균형과 대외균형을 위한 정책조합을 학습한다. 또한, 전통적 및 현대적 환율결정이론, 환율예측의 이론, 국제통화제도의 변천, 그리고 국제금융위기의 원인과 결과를 다룬다.
ECO3016 한국경제론 3 6 전공 학사 3-4 경제학과 Yes
한국경제의 본질을 규명키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자본주의의 성립 및 발전과정과 한국 의 근대경제사를 재조명한 다음, 해방 후 한국경제의 전개과정을 미군정시대, 한국 동란시대 및 경제개발계획시기로 구분하여 주요 경제 여건의 변화 및 당면과제 그리고 이에 대응한 제반 경제정책의 실시효과를 평가한다
ECO3018 국제통상론 3 6 전공 학사 3-4 경제학과 Yes
WTO체제하에서 합의된 현존 국제무역질서, 규범, 규칙 및 관행을 개관한 다음 새로운 국제통상문제를 검토하고 이들 문제에 대한 무역협상정책과 기법을 협상의제설정, 협 상조직, 협상절차와 최종타결로 나누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국제무역정책과통상현상기법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에 대하여 토론한다.
ECO3021 외환시장론 3 6 전공 학사 3-4 경제학과 Yes
외환시장의 구조, 기능, 거래 ; 외환시장과 국내단기 금융시장과의 관계 ; 외국화폐시장, 域外금융시장(Euro-currency markets)및 외환시장과의 관계 ; 이자율과 환율의 관계 ; 국내금리와 유로시장금리의 차이 : SWAP 거래와 금리 재정거래 ; 환율의 결정요 인 : 換危險의 관리 ; 한국외환시장 및 국제외환시장의 거래 동향 ; 派生金融商品거래의 급성장.
FRE3005 비즈니스프랑스어 3 6 전공 학사 3-4 프랑스어문학과 Yes
개인적인 사사로운 편지로부터 홍보물, 공문서, 상업 통신문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어권의 일상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 표본적 문서들을 체계적으로 분석, 연구하고 동 유형의 문서를 프랑스어로 작성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GER2034 독일어번역과작문 3 6 전공 학사 2-3 독어독문학과 Yes
이 수업의 목표는 두 가지다. 하나는 독일어 텍스트를 한국어로 정확히 번역하는 연습이다. 이를 위해 여러 다양한 텍스트들을, 특히 시사성이 있는 독일 신문이나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어로 번역해 본다. 다른 하나는 독일어 문장 전환 연습이다. 같은 의미의 다양한 독일어 표현을 익히며, 이를 통해 독일어 작문 연습을 겸행한다. 두 번째 학기 세트-교과목에 속한다.
GER3028 독일비즈니스문화 3 6 전공 학사 독어독문학과 Yes
독일 비즈니스 문화는 경제와 직업과 관련된 어법과 표현을 익히고 연습한다. 비즈니스와 관련된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가장 기초적인 표현들과 독일어로 편지쓰기, 이력서 작성하기, 실용문서 작성하기 등을 위한 기술과 요령을 배우고, 실무에서 사용되는 독일어를 이해하고 구사하는 능력을 기른다.
INT2002 국제통상협상론 3 6 전공 학사 1-4 - No
본 교과목은 국제통상협상 및 국제정책조정과정에서 부각되는 다양한 협상구조에서, 한국과 같은 소국개방경제의 협상이익의 극대화를 위하여, 국제협상이론의 기초를 연마하고, 국제협상이론에 근거한 사안별 최적협상전략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다자간 협상 및 양자간 협상구조와 같은 협상형태별 최적 협상전략과, 협상상대국의 특성 및 협상사안별 특성을 고려한 최적협상전략분석을 연마한다.
INT2003 국제통상정책과관세 3 6 전공 학사 2-3 - No
이 교과목은 국제통상정책과 관세의 기본 개념과 실제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급변하고 있는 국제통상환경에 대해 탐구하고, 관세법을 포함한 관련 제도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를 한다.
INT2004 세계경제질서의역사 3 6 전공 학사 2-3 Yes
이 교과목은 세계경제질서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어떻게 현대의 세계경제질서가 구축되었는가를 살펴본다. 산업혁명과 시민혁명을 통해 근대화를 경험한 세계 각국이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세계경제질서를 형성해 왔는지, 그리고 시기적으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에 대해 글로벌한 관점에서 탐구한다. 세계 각 지역이 어떤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오늘날의 경제구조를 갖게 되었는지도 탐구한다. 이를 통해 국가중심적, 지역주의적, 범세계적 경제질서의 시기적 및 지역적 변천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하도록 교육한다.
INT3001 국제경제기구론 3 6 전공 학사 1-4 Yes
본 교과목은 국제통상의 제도적 규범과 국제통상기구의 운용원리를 이해하고, 국제경제기구를 통한 국제통상현안에 대한 전략적 접근방식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WTO 및 IMF, IBRD로 대표되는 Bretton Woods체제 및 WTO의 운용원리에 대한 심층분석을 주 내용으로 한다.
INT3002 글로벌시장전략 3 6 전공 학사 3-4 Yes
이 교과목은 글로벌 시장에 대한 기업의 진출 전략을 탐구 대상으로 한다. 선진국 마켓뿐만 아니라 개도국 마켓과 같은 프런티어 마켓에 대한 진출 전략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FTA와 같은 지역경제협력체에 대응하는 전략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지역별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특색을 고려한 전략의 수립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INT3003 글로벌지속경영 3 6 전공 학사 3-4 한,영 Yes
이 교과목은 현대 경영학이 강조하는 기업경영의 윤리문제 및 사회적 책임을 주제로 한다. 이윤추구라는 전통적인 기업경영의 목표를 넘어서 최근 중요시되는 이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학생들은 기업의 목적과 운영방식에 대해 미래지향적인 관점을 배우게 된다.
INT3004 지역통상론 3 6 전공 학사 3-4 Yes
세계 각 지역시장이 지닌 특질을 탐구하는 교과목으로, 개별 지역이 지닌 제도적, 문화적, 경제정책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중국, 유럽연합, 인도, 중동, 환태평양 지역 등 각 지역의 경제체제가 보여주는 핵심적 특징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통상방식과 관행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1개 내지 소수의 지역경제를 전문적으로 탐구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