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분야 핵심기술을 반영하여 교과과정 구성
- 산업체 인력을 고려한 이론적 기반 교육 강화, 산업현장 및 실무습득 중심의 교육과정 편성
- 빠르게 변화하는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기술습득을 위해서 타 대학원의 과목들을 교차수강
- 타 학과 소속 학생들과의 교류 및 공정한 경쟁을 통한 실력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학과 개설과목을 타 학과 소속 학생들에게 수강 허용
- 산업체 수요기반 프로젝트 중심의 자기주도적 연구·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구성 내용
석사과정 총 24학점, 박사과정 총 36학점 이수
학위 과정별 핵심 교과목 편성 및 일반대학원 전공 교과목 교차수강
공통 과목, 프로젝트 과목, 프로그래밍 과목, 4IR(연구 세미나) 과목, 개별연구 과목, 전공(융합, 응용) 과목 등으로 구성
산업체 수요기반 실무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
- 산업체 수요를 조사하여 프로젝트의 주제 및 아이디어를 구성
- (공통) 대학원생(팀장)이 학부생 3명 이상으로 팀 구성, 프로젝트 지도교수의 승인 필요(학교 논문심사 체제 적용)
-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학기 중에 이수,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고 제출(논문 및 특허 포함)
- SFEP(Sungkyun Field Experience Program, 非학점) 프로그램: 협약 기업을 포함한 산업 현장에서 방학 중(8주 이상)에 수행
개별연구 과목
- (석사과정) 스마트팩토리융합프로젝트연구
- (박사과정) 스마트팩토리심화캡스톤디자인1/2, 스마트팩토리박사연구1/2
교육과정 로드맵(예시)
구분 | 1학기 | 방학 | 2학기 | 3학기 | 4학기 | 비고 |
---|---|---|---|---|---|---|
공통 | 스마트팩토리융합특론 | 필수 | ||||
프로젝트 (캡스톤디자인) |
스마트팩토리캡스톤디자인1 | 스마트팩토리캡스톤디자인2 | - | |||
프로젝트 (현장실습) |
SFEP (非학점) |
1/2/3 방학中 이수 |
||||
프로그래밍 | 스마트팩토리응용프로그래밍 | |||||
4IR (연구 세미나) |
스마트팩토리구현기술세미나 | 스마트팩토리융합기술세미나 | - | |||
개별연구 (석사, 프로젝트) |
스마트팩토리융합프로젝트연구 | 프로젝트 Track 이수자 | ||||
개별연구1 (박사, 연구) |
스마트팩토리박사연구1 | 스마트팩토리박사연구2 | - | |||
개별연구2 (박사, 프로젝트) |
스마트팩토리심화캡스톤디자인1 | 스마트팩토리심화캡스톤디자인2 | - | |||
전공 (융합) |
제조빅데이터분석
제조사이버물리시스템 스마트센서및계측 |
+ C/L 교과목 | ||||
전공 (응용) |
3D프린팅제조응용 머신비전응용 제조물류자동화 산업용로봇응용 산업용네트워킹응용 지능형로봇및인공지능응용 딥러닝기술응용 스마트팩토리컨설팅 글로벌제조관리 |
+ C/L 교과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