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CCS3011 | 테크노컬처론 | 3 | 6 | 전공 | 학사 | 3-4 | 비교문화전공 | 한 | Yes |
'테크노컬처론'은 현대 기술문화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를 높이는 융복합 창의혁신 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기술의 개입이 사회의 변화에 어떤 영향 관계를 끼치고 있는지를 기초적인 수준에서부터 탐색한 뒤, 각 개별 주제와 대상으로까지 확대해 살펴보는 종합적인 문화비평론 수업으로 기획되었다. 먼저 기술철학사와 기계비평 문화론을 점검한 뒤 이를 경유해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시민사회의 적정기술', '테크노 페미니즘', '거대기계와 인간'의 문제까지를 '과학기술학'과 '문화연구론'의 관점에서 다룬다. | |||||||||
CHS2004 | 인문학과창의적사유 | 1 | 2 | 전공 | 학사 | 1-4 | 도전학기 | - | No |
4차 산업은 초연결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T기술이 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을 서로 연결하여 지능화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많은 응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이런 환경에서 기업은 고객이 원하는 새로운 가치를 찾는 노력을 하게 된다. 이 강좌의 목적은 인문학의 이해를 통해서 인간(고객)의 본성을 이해하며, 인문학을 통해서 경영, 기술의 창의성을 함께 생각해 본다. | |||||||||
CHS7004 | Python활용인문사회과학논문쓰기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도전학기(대학원) | 한 | Yes | |
논문을 쓰기 위한 과목으로 인문사회과학 영역의 연구를 위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논문을 쓰기 위한 과정이다. 기본적으로 논문 쓰기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하며, 논문을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프로그래밍 처리를 학습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가운데 인문사회과학 관련 자료를 처리하기 가장 적합하며, 자료 시각화 기능이 뛰어난 파이선을 활용하여 논문 쓰는 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논문 작성을 위한 기본 적인 연구 방법론 및 논문 내용 구성에 대한 이론 강의가 우선 진행된다. 논문 작성을 위하여 주제 선정 및 토론이 진행된다. 주제가 선정되면 관련 연구 정리 방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 다음 과정으로 연구 방법론에 따라 필요한 내용 작성에 대한 학습이 진행된다. 제언 및 참고 문헌 정리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여 이론적 접근법을 완성한다. 파이선 활용을 통한 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본적인 파이선 문법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며, 입력 자료 처리를 위한 실습을 진행한다. 각 연구 분야에서 필요한 파이선 패키지 설치 방법 및 활용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 후, 실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실습이 진행된다. 공동 연구 진행을 대비하여 쥬피터 노트북 (jupyter notebook) 사용법을 기본 환경으로 설정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자료 가시화를 위한 matplolib 활용법을 학습하며,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pandas 활용을 학습한다. 이 과목의 목적은 각 전공 분야에 필요한 연구를 파이선 언어로 프로그래밍 구현을 실행하여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정 기간 내에 논문 1편 완성을 목표로 한다. | |||||||||
CLA2002 | 동아시아고전학입문 | 3 | 6 | 전공 | 학사 | 2-3 | 문과대학 | 한 | Yes |
동아시아적 지평에서 문화적 공동성을 탐구하고 모색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동아시아의 보편적 문언문 교양과 그 문체를 동아시아 사회의 형성이라는 지평에서 이해한다. 아울러 개별 국가에서 다채롭게 산생한 로컬화의 원리와 이념을 학습한다. 동아시아 고전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당대 개별 사회와 문화예술, 심성 등 문화사 전반을 재구성해 보는 과목이다. 문학을 통한 일상사의 재구성과 당대의 역사문화적 상황을 폭넓게 확인해 본다. | |||||||||
CLA2003 | 인문학명저산책 | 3 | 6 | 전공 | 학사 | 2-4 | 문과대학 | 한 | Yes |
이 과목은 동양과 서양의 대표적인 인문학 고전 작품들을 읽고 토론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인문학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자 한다. 2주일에 적어도 한 권의 작품을 읽어나감으로써 총 7-10권 정도의 작품들을 섭렵해 나갈 예정이다. 시간에 맞추어 작품을 꼼꼼히 읽어오는 것이 중요하며, 수업은 읽어 온 작품을 중심으로 주로 토론과 발표로 이루어진다. 인문학 고전들의 보편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그것을 생산해 낸 구체적인 시대적 배경에도 주목할 예정이며, 무엇보다도 이러한 고전들이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 |||||||||
CLA2007 | 문과대학전공탐색 | 2 | 4 | 전공 | 학사 | 1-2 | 문과대학 | 한 | Yes |
본 과목은 문과대학 10개 학과에 대하여 전공진입 또는 복수전공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교과목입니다.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프랑스어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러시아어문학과, 한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문헌정보학과의 전공 탐색 과목입니다. 각 학과의 커리큘럼과 졸업 후 진로 등에 대한 소개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 |||||||||
CLA3001 | 문과대학현장실습1 | 2 | 4 | 전공 | 학사 | 3-4 | 문과대학 | - | No |
전공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관심분야 현장에서 갖는 실습강좌(2주간) | |||||||||
CLA3002 | 문과대학현장실습2 | 3 | 6 | 전공 | 학사 | 3-4 | 문과대학 | 한 | Yes |
전공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관심분야 현장에서 갖는 실습강좌(4주간) | |||||||||
CLA3003 | 문과대학현장실습3 | 4 | 8 | 전공 | 학사 | 3-4 | 문과대학 | - | No |
전공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관심분야 현장에서 갖는 실습강좌(6주간) | |||||||||
CLA3004 | 문과대학현장실습4 | 5 | 10 | 전공 | 학사 | 3-4 | 문과대학 | 한 | Yes |
전공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관심분야 현장에서 갖는 실습강좌(8주간) | |||||||||
CLA3005 | 문과대학현장실습5 | 9 | 18 | 전공 | 학사 | 3-4 | 문과대학 | 한 | Yes |
전공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관심분야 현장에서 갖는 실습강좌(24주간) | |||||||||
CLA3006 | 인문학글로벌리더십 | 2 | 4 | 전공 | 학사 | 2-4 | 문과대학 | - | No |
문과대학 국제화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해 국제기구 및 해외 유수 기업, 기관 현장에서 교육을 실시한다. | |||||||||
CLA3007 | 동아시아의현대고전 | 3 | 6 | 전공 | 학사 | 3-4 | 문과대학 | 한 | Yes |
동아시아적 지평에서 문화적 공동성을 탐구하고 모색하기 위한 교과. 19세기 말 이후 형성된 개별 국가의 근대국민문학을 동아시아의 현대 고전이라는 지평에서 재독함으로써 개별 국민문학/민족문학 개념을 탈구축적으로 재고하고 나아가 비판적 역사의식 속에서 공생과 상호협력을 지향할 수 있는 가치들을 함양한다. | |||||||||
CLA3101 | 문과대학연구학점1 | 2 | 4 | 전공 | 학사 | 2-4 | 문과대학 | 한 | Yes |
학업성취도 우수 학생 중 연구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과학생에게 학부과정 중에 중장기 연구과제를 스스로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참여의 기회를 실제로 조기에 제공함으로써, 학부생의 학업성취 동기를 유발하고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운영함. | |||||||||
CLA3102 | 문과대학연구학점2 | 2 | 4 | 전공 | 학사 | 2-4 | 문과대학 | 한 | Yes |
학업성취도 우수 학생 중 연구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과학생에게 학부과정 중에 중장기 연구과제를 스스로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참여의 기회를 실제로 조기에 제공함으로써, 학부생의 학업성취 동기를 유발하고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운영함. | |||||||||
CLA3103 | 문과대학연구학점3 | 2 | 4 | 전공 | 학사 | 2-4 | 문과대학 | - | No |
학업성취도 우수 학생 중 연구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과학생에게 학부과정 중에 중장기 연구과제를 스스로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참여의 기회를 실제로 조기에 제공함으로써, 학부생의 학업성취 동기를 유발하고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운영함. | |||||||||
CLA3104 | 문과대학연구학점4 | 2 | 4 | 전공 | 학사 | 2-4 | 문과대학 | - | No |
학업성취도 우수 학생 중 연구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과학생에게 학부과정 중에 중장기 연구과제를 스스로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참여의 기회를 실제로 조기에 제공함으로써, 학부생의 학업성취 동기를 유발하고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운영함. | |||||||||
CLA3105 | 문과대학연구학점5 | 2 | 4 | 전공 | 학사 | 2-4 | 문과대학 | - | No |
학업성취도 우수 학생 중 연구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과학생에게 학부과정 중에 중장기 연구과제를 스스로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참여의 기회를 실제로 조기에 제공함으로써, 학부생의 학업성취 동기를 유발하고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운영함. | |||||||||
CLA3106 | 번역으로읽는한국문학과동아시아문학 | 3 | 6 | 전공 | 학사 | 2-4 | 문과대학 | 한 | Yes |
한국문학과 동아시아문학은 이제 국민문학을 넘어 세계문학 또는 지구문학으로 읽히고 있다. 이 과목은 외국어로 번역된 한국문학과 동아시아문학을 원전과 함께, 또 번역을 통해 읽어가며 한국문학과 동아시아문학의 핵심적인 쟁점들을 읽고 토론하는 강좌이다. 수강생들은 자신의 모국어 또는 해득가능한 외국어 번역 텍스트를 통해 동아시아 근대의 주요 사건과 이슈들을 검토하게 될 것이다. 이 과목은 캠퍼스아시아사업의 일환으로 개설되며, 문과대 모든 학생들의 전공과목으로 인정된다. 이 과목은 국내외 학생들이 함께 공부하는 코스로 모든 수강생의 성적 부여는 각자의 성취도에 따라 절대평가로 이루어진다. | |||||||||
CLA3109 | 한국어인공지능데이터과학 | 3 | 6 | 전공 | 학사 | 문과대학 | 한 | Yes | |
디지털인문학 연구자가 되거나 한국어 말뭉치를 활용한 인공지능/데이터 과학을 배워 진로를 모색하려는 문과대학 전공자들을 위한 강좌다. 인공지능 데이터과학을 둘러싼 이론과 Python 코딩 실습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이론과 개발 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들의 팀티칭을 통해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고, 모든 학생이 조별 또는 개별 활동을 통해 문학, 언어, 역사, 문화 등에 관한 데이터마이닝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하는 과목이다. | |||||||||
DKL3007 | 고전시가론 | 3 | 6 | 전공 | 학사 | 3-4 | 국어국문학과 | 한 | Yes |
고전시가의 전반적인 특징 파악을 위한 장르, 운율 등의 이해를 바탕으로 상고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구체적인 작품내용과 특징 및 형식, 작자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 문학적 가치를 인식한다. | |||||||||
HAN3007 | 한문교육론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문교육과 | 한 | Yes |
한문교재연구 및 지도법에서 익힌 교수법을 바탕으로 강의 준비방법 및 평가방법을 익히고 제반사항을 점검하여 교생실습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 |||||||||
HAN3010 | 한문학습지도1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문교육과 | 한 | Yes |
한문 교과 지도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여 중ㆍ고등학교 한문교과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도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을 수행한다. | |||||||||
ISS3309 | Writing with AI | 3 | 6 | 전공 | 학사 | 국제하계대학 | 영 | Yes | |
How is artificial intelligence reshaping the way we write, think, and communicate? This course explores the impact of AI on writing practices across disciplines, from creative expression to professional communication. Students will engage in lectures and hands-on lab sessions to examine the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AI-powered writing tools, while discussing topics such as originality, authorship, and ethics in the age of automation. No prior technical background is required—only curiosity about language, technology, and how the two intersect in today's world. | |||||||||
KLC2001 | 사서강독1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 | Yes | |
유교경전 중 한문학작품에 깊은 영향을 끼친 "논어"와 "맹자"를 중심으로 원문을 강독하고 그 사상적 의미와 문체를 살펴 본다. | |||||||||
KLC2002 | 사서강독2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 | Yes | |
경전강독1의 속강으로 경서에 대한 독해능력을 확장하며 고전 사상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게 한다. | |||||||||
KLC2003 | 초급한문1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 | Yes | |
한문학의 어학적 기초를 위한 강좌로 중국 및 한국의 명문을 단문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장문에 접근함으로써 한문의 독해력을 양성하고 한문학에 대한 이해 형성을 목표로 한다. | |||||||||
KLC2006 | 한문학의이해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 | Yes | |
한문학에 대한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인식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으로 한문학의 개념과 각 장르별 특징을 이해하게 한다. | |||||||||
KLC2007 | 한문문법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 | Yes | |
한문문장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접근을 위해 명문을 분석 검토하여 문장의 구성 및 표현방법에 이르기까지 한문독해에 필요한 사항을 단계적으로 정리한다. | |||||||||
KLC2009 | 금석서예 | 3 | 6 | 전공 | 학사 | 2-3 | - | No | |
서예 실습과 금석문 자료의 탁본 실습을 주로 하는 교과로 한자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며, 한문학을 전공하는 자로서의 자질 향상에 도움을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