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CEK5123 | 제자백가문헌강독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유학동양한국철학과 | - | No |
본 과목은 선진시기 유가원전과 아울러 묵가, 도가, 그리고 법가의 원전을 폭넓게 강독함으로써 각각의 철학적 특색과 차이점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동양철학의 커다란 맥락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선진시기 동안 천인(天人)의 관계 변화, 윤리적 관점의 차이와 그에 상응하는 사회사상의 차이 등 제자백가를 구성하는 중심적인 철학적 문제들을 중점적으로 탐구할 것이다. | |||||||||
CHS5005 | AI스타트업과기업가정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도전학기(대학원) | - | No |
최근 인공지능의 적용범위가 전산업분야에 걸쳐 크게 확대되면서 AI를 핵심가치로 하는 이른바 AI 스타트업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는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AI 스타트업이 과연 어떠한 기업가정신으로 무장하고 어떠한 비즈니스 모델로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이론적 실증적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막연한 기대감과 겉모습만 AI로 치장한 AI스타트업으로는 치열한 시장경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본 과목은 이러한 현재의 AI스타트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가지 목표를 제시한다. 첫째, AI스타트업이 갖추어야 할 비즈니스모델의 유형을 세분화한다. 둘째, AI스타트업이 가져야 할 기업가정신의 유형을 소개하고 그 대표적 성공사례를 다양한 국내외 사례로 분석한다. 셋째, 랜드봇, 스테이블디퓨전, 노코드 ML/DL등의 실제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팀단위로 가상의 AI스타트업을 만들어보고 해당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 기업가정신을 설정하고 그 효과성을 진단해 본다. | |||||||||
CHS7002 | 머신러닝과딥러닝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도전학기(대학원) | - | No | |
본 수업에서는 기초적인 머신러닝 및 딥러닝 알고리즘의 이론 및 실습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선형 분류, 선형 회귀, 의사결정나무, 서포트 벡터 머신, 다층신경망, 컨볼루션 네트워크 등 실제 사례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들을 이론 강의를 통하여 습득하고, python을 이용하여 이론에서 배운 알고리즘을 실습을 통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한다. 본 수업의 원활한 수강을 위하여, 학생들은 기본적인 미적분학, 선형대수학, 확률 및 통계, python language의 활용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
CHS7003 | 인공지능응용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도전학기(대학원) | - | No | |
스탠포드 대학교의 공개 강좌인 cs231n은 이미지 인식과 딥러닝에 대한 가장 유명한 공개 강좌 중 하나이다. 본 수업은 스탠포드 대학교의 공개 강좌 cs231n을 이용하여 Flipped class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본 수업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학부 수준의 기본적인 수학 지식(선형대수, 미적분학, 확률/통계)와 기본적인 파이썬 기반의 코딩 능력이 요구된다. 수업에서 진행하는 구체적은 진행방식과 활동은 다음과 같다. 1) On-line 강의(English)를 청취 (학습자 주도) 2) On-line 강의(English) 청취한 내용에 대해 개별 노트 정리 (학습자 주도) 3) On-line 강의(English) 청취한 내용에 대해 QnA 토론 (학습자 주도) 4) QnA 기반의 교수자 주도의 Off-line 강의(Korean) 강의 (교수자 주도) 5) 팀별 보충 발표 (학습자 주도) 매 토픽에 대하여 위에 언급한 1) ~ 5)의 진행방식을 활용하여 학습한다. 평가는 각 활동과 과제, 중간 시험, 기말 프로젝트에 기반하여 절대평가한다. 수업에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Introduction Image Classification Loss Function & Optimization (Assignment # 1) - Introduction to Neural Networks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ssignment # 2) - Training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Hardware and Software - CNN Architectures-Recurrent Neural Networks (Assignment # 3) - Detection and Segmentation - Generative Models - Visualizing and Understanding -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Final Project. 본 수업은 이미지 인식과 관련한 딥러닝 방법에 대하여 기초부터 응용까지 다루므로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 |||||||||
CHS7007 | AI기반미디어텍스트이해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도전학기(대학원) | 한 | Yes | |
이 교과목은 학생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뉴스, 광고, 영화,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미디어 텍스트를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연어 처리(NLP)를 통한 감성 분석, 키워드 추출, 요약 기술과 함께 CNN, GAN 등의 모델을 활용한 이미지·영상 데이터 해석 기술을 학습하며, AI 생성 콘텐츠의 신뢰성과 윤리 문제에 대한 고찰도 포함한다. 수업은 이론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며, Python 기반 AI 모델(GPT, Gemini AI 등)을 활용한 분석 과제 및 프로젝트를 통해 실전 중심의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 |||||||||
CHS7008 | AI기반전략적의사결정 | 3 | 6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도전학기(대학원) | 한 | Yes | |
본 과목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고급 역량을 체계적으로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단순한 데이터 분석 능력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하며, AI가 생성한 방대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본 교과목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학생들이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협력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을 설계하였다. 본 과목에서는 먼저 AI의 기본 원리와 생성형 AI 시스템의 동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AI가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텍스트, 예측 결과 등)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나아가 AI가 생성한 정보의 오류 가능성과 편향 문제를 식별하고, 신뢰성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는 훈련을 집중적으로 진행한다. 특히 AI 의사결정 과정의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고, 책임 있는 AI 활용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단순 기술 습득을 넘어 사회적 책임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관점을 기를 수 있다. 이 과목은 단순한 데이터 분석 교육을 넘어, 인간과 AI의 협력 모델을 전략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기업 경영, 의료, 금융, 공공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AI 기반 의사결정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반 전략적 문제 해결 과제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실제 산업 및 공공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질적 의사결정 역량을 갖추게 된다. 또한 본 교과목은 글로벌 교육 트렌드를 적극 반영하였다. MIT의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cision Making (Course 6-4)', Stanford의 'CS 372: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easoning,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카네기멜론대학교(CMU)의 'SDS 88436 - Human-AI Complementarity for Decision Making'과 같은 선진 대학 과정을 벤치마킹하여, 최신 흐름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를 아우르는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기술은 앞으로 모든 산업과 사회 전반을 재편할 것이다. 본 과목은 이와 같은 변화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학생들은 AI의 잠재력과 한계를 동시에 이해하고, 인간 중심적 사고를 기반으로 AI와 협력하여 전략적 결정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기른다. 나아가, 미래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조직을 혁신으로 이끄는 AI 기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다진다. 본 과목은 단순한 AI 활용법을 넘어, 전략적 사고와 혁신적 리더십을 갖춘 AI 활용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지금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핵심 교과목이다. | |||||||||
COV7001 | 논문작성법및연구윤리1 | 1 | 2 | 전공 | 석사/박사 | 일반대학원 성균융합원 | 한 | Yes | |
1) 논문작성의 전반을 소개하고, 논문작성의 필수적인 교양을 습득한다. 2) 연구 결과를 영어로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공부함으로써 향후 국내외학술지에 효율적으로 논문을 개제할 수 있도록 한다. 3) 연구 윤리를 습득한다. | |||||||||
EAS5214 | 동아시아의여성·젠더표현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동아시아학과 | 한 | Yes |
이 강좌는 19세기에서 오늘날까지 동아시아 각 사회의 문학, 법, 문화현상 등에서 여성, 젠더 표현이 어떻게 나타나며 거기에 내재된 다양한 사회역사적, 지적인 맥락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또한 여성들의 정치, 사회, 문화 영역에서의 자기표현 내지 자기정의가 어떻게 형성되고 그 과정에서 야기된 사건, 그리고 그것이 이슈화되는 방식에 내재된 한국사회나 다른 사회 전반의 젠더 표현의 문제를 다룬다. | |||||||||
LIS4006 | 도서관_정보센터경영론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도서관 및 정보센타의 일반적인 경영활동 즉, 기획, 조직, 인사, 재정 및 평가 등과 관련된 당면 주요문제를 다룬다. | |||||||||
LIS4009 | 정보행위이론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인식론에 근거한 사이버네틱스, 일반 행동이론에 대한 지식을 배양하며 정보행위에 관한 제 이론을 비교분석하여 정보봉사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눙력을 배양한다. | |||||||||
LIS4010 | 정보사회론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학술 및 전문정보 봉사기관과 이용자의 관계를 사회학적 측면에서 다룬 이론들의 개괄과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조사의 토대를 제공한다. | |||||||||
LIS4011 | 정보문해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정보문해의 진화 역사, 정보문해 모형, 정보문해 방법론을 다룬다. | |||||||||
LIS4013 | 지식조직론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지식의 정보학적 의미, 구조, 형태 등을 익히며 지식들의 체계적 극복을 위한 보조도구, 발전형태 및 문제점들을 분석함으로써 분류와 정보검색 분야에 필요한 언어학적 토대를 제공한다 | |||||||||
LIS4014 | 인터넷서비스구축및관리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이 세미나는 훌륭한 웹 디자인을 하기 위해 필요한 원칙 및 정보기술들과 효과적인 웹 자원관리에 초점을 둔다. 또한 HTML, XML, SGML, Doublin, Core, Resource Description, Firework 등의 주제도 이 세미나에서 다루게 될 것이다. | |||||||||
LIS4017 | 기록관리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아카이브이 기록물 보호와 보존, 아카이브 소장물의 효율적 관리방법 및 관련 연구결과를 다룬다. | |||||||||
LIS4018 | 한국체계서지학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한국의 역대목록을 시대별, 주제별로 심도있게 연구한다 | |||||||||
LIS4020 | 정보서비스론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 | No | |
정보서비스 기관의 전통적 유형과 새로운 유형, 정보서비스 실무의 전통적 유형과 새로운 유형, 정보서비스 평가법 등을 다룬다. | |||||||||
LIS4022 | 웹기반시스템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 | No | |
이 과목의 목적은 웹기반 정보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개념과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시맨틱웹 기술의 기초, XML 기술이 정보산업에 미칠 영향, 웹서비스, 텍사노미, 온톨로지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다룰 것이다. | |||||||||
LIS4024 | 정보시스템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 | No | ||
정보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필수적인 시스템적인 접근 방법을 다룬다. 시스템적인 접근 방법을 사용한 분석, 설계, 평과의 전 과정을 이해하고 적용한다. | |||||||||
LIS4025 | 메타데이터관리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 | No | ||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의 표준과 그 프레임웍 및 데이터의 의미, 명명과 식별, 등록, 관리 방법론을 연구한다. | |||||||||
LIS4026 | 건강데이터시스템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 | No | ||
이 강의는 강의 개요 또는 그룹 토론의 질문과 주제를 미리 제공하는 플립드 수업입니다. 강의 자료를 통해 학생들은 수업 준비를 미리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수업 토론 및 그룹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 과정은 의료 및 건강 관리 데이터의 주요 특성, 표준 및 관리, 현재 건강 정보 기술 관련 문제, 특히 모바일 기술, 생물 정보학, 공중 보건 정보학, 온라인 의료 자원 및 의료 정보 검색, 의료 영상 정보학, 질병 관리 및 질병 등록 등의 다양한 주제를 논합니다. 본 강의는 의료 및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MeSH와 PubMed를 실습하고, CINAHL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PsycINFO, Embase, ClinicalTrials, Cochrane 등과 같은 주요 의학 데이터베이스와 디지털 자원에 대해 논합니다. | |||||||||
LIS4028 | 데이터큐레이션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 | No | ||
이 수업은 건강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관점에서 건강관련 데이터의 수집, 조직, 관리, 평가, 보존, 공유에 이르는 데이터 관리 전반의 활동들을 탐색하는 수업입니다. 이 수업은 건강 데이터와 관련한 큐레이션 모델, 기반장치, 표준, 개인정보보호, 정책 및 실제사례를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관점에서 검토할 것입니다. | |||||||||
LIS4029 | 과학학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 | No | |
본 수업은 자연어처리, 머신러닝, 시각화, 네트워크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사이언스기법을 활용하여 학술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에 대해 학습한다. 연구평가지표, 연구자의 커리어, 연구 협력, 연구의 영향력 등 주제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토론하고 분석한다. | |||||||||
LIS5001 | 연구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 양적 연구에서 요구되는 가설의 진술, 변인 찾기와 측정, 연구 설계 및 표본 추출 방법 등을 다룬다. | |||||||||
LIS5002 | 비교문헌정보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도서관학의 기원 및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및 한국의 도서관학 발전과정과 각국의 특징적인 중점연구 주제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도서관학 발전의 지표로 삼는다. | |||||||||
LIS5003 | 한국도서관사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고대에서 근세에 이르는 시기의 한국에서의 도서관의 역사를 개관하고, 그 가운데서 쟁점들을 중점적으로 연구·검토함으로써 현재의 한국의 도서관을 되돌아보고 미래의 도서관을 전망할 수 있는 소양을 배양한다. | |||||||||
LIS5005 | 정보조직법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도서관자료의 조직을 위한 제이론을 연구한다. | |||||||||
LIS5010 | 출판_저작권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도서관과 정보센터의 봉사 매체인 다양한 출판물의 제작 및 출판과정과 출판물의 이용에 있어서의 저작권의 문제와 특히 전자 출판의 출현과 함께 제기되는 구체적인 저작권 문제를 다룬다. | |||||||||
LIS5015 | 디지털도서관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컴퓨터에 의한 기본적 정보처리 기술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텍스트, 음성, 화상, 영상 및 멀티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적 방법을 습득한다. | |||||||||
LIS5018 | 정보검색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IRS 등의 분석 및 실험용 DB 구축을 통한 실제 검색기법들을 연구한다. |